알퐁스도데 “별”

알퐁스도데의 "별"을 읽을 때마다 목동이 보는 별하늘을 한번 찍어야지 생각만 했는데..

우연히 다시 읽으면서 곱씹어보니, 요즘 별하늘 모양새와 비슷한 듯 해서, 촬영을 시도했다.

 

"아무렴요, 아가씨. 자! 바로 우리들 머리 위를 보셔요. 저게 '성 쟈크의 길(은하수)'이랍니 다. 프랑스에서 곧장 에스파니아 상공으로 통하지요. 샤를르마뉴 대왕께서 사라센 사람들과 전쟁을 때에, 바로 갈리스의 쟈크가 용감한 대왕께 길을 알려 주기 위해서 그어놓은 것이랍니다.

좀더 쪽으로 '영혼들의 수레'와 번쩍이는 굴대 개가 보이지요? 그 있는 셋이 '세마리 짐승'이고,

셋째번 별의 바로 곁에 다가붙은 아주 작은 꼬마별 '마차부'이고요,

언저리에 온통 빗발처럼 내리떨어지는 별들이 보이죠? 그건 하느님 께서 당신 나라에 들이고 싶지 않은 영혼들이랍니다.

저편 낮은 쪽에, 저것 보십시오. 저게 '갈퀴' 또는 삼왕성(오리온)이랍니다. 우리들 목동에게는 시계 구실을 주는 별이지요. 그 별을 쳐다보기만 해도, 나는 지금 시각이 자정이 지났다는 안답니다.

역시 남쪽으로 좀더 아래로 내려가서, 별들의 횃불인 밀랑(시리어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 저 별에 관해 서는 목동들 사이에 다음과 같은 얘기가 전해지고 있답니다.

어느 밤, 쟝 밀랑은 삼왕성과 '병아리장(북두칠성)'들과 함께 그들 친구별의 잔치에 초대를 받았나봐요. '병아리장' 은 남들보다 일찍 서둘러서 먼저 떠나 윗길로 접어들었다나요. 저 위쪽으로 하늘 한복판을 보셔요. 그래, 삼왕성은 아래로 곧장 가로질러 마침내 '병아리장'을 따라갔습니다. 그러나, 게으름뱅이 밀랑은 너무 늦잠을 자다가 그만 맨꼬리가 되었어요. 그래 불끈해 가지고 그들을 멈추게 하려고 지팡이를 냅다 던졌어요.

그래서, 삼왕성을 '쟝 밀랑의 팡이'라고도 부른답니다…….

그렇지만, 온갖 별들 중에도 제일 아름다운 별은요, 아가씨, 그 뭐니뭐니해도 역시 우리들의 별이죠. 저 '목동의 별'말입니다.

우리가 새벽에 양떼를 몰고 나갈 때나 또는 저녁에 다시 몰고 돌아올 때, 한결같이 우리를 비추어 주는 별이랍니다.

우리들은 별을 마글론이라고도 부르지요. '프로방스의 피에르'의 뒤를 쫓아가서 칠년 만에 번씩 결혼을 하는 예쁜 마글론 말입니다." <알퐁스도데의 "별" 중에서..>



오리온이 낮게 깔린 것을 보고 자정이 지났다라고 하는 보면 역시 3월 하늘의 모양과 비슷하다.

목동이 보는 정도로 촬영한 별하늘 (아쉽게도 시리우스와 아크투르스가 아슬아슬하게 잘렸다. - 시리우스까지는 나왔는데, 왜곡 보정하느냐 잘려버림..)

 

우리나라의 별하늘은 겨울 은하수를 보기 어렵다. 오리온의 좌측 어깨부터 마차부자리까지 연결되는 겨울 은하수를 쟈크의 길이라고 말하는거 보면 겨울 은하수가 잘보였나보다..

영혼들의 수레는 북두칠성이고.. 쟝 밀랑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목동의 아크투르스가 가장 아름답게 빛나는 건.. 역시 봄철이라는..

 

근데 소설 중에 언급된 때는 7월.. 알퐁스도데가 사기치는 것이 분명하다!!! 아니면 하늘 한번 안보다가 어디서 주워 들은 이야기로 썰을 풀었던지..